서해안 13

2020-01-18~19[1박2일 도보여행]서해안 따라서②(해남군 화산면 관동리~문내면 예락리 약 42.8㎞)

2020년 1월 18일~19일 서해안따라서 릴레이도보 2구간 (전남 해남군 화산면 관동리~전남 해남군 문내면 예락리) * 오전 7시 10분 반포고속터미널 출발 신갈정류소 - 정안휴계소(8시30분)-함평천지휴계소(10시30분)-해남터미널(오전11시30분 도착예정) * 첫날점심 : 꽃담 전남 해남군 화산면 고천암로 3 (지번) 화산면 방축리 391 061-534-6286 * 점심식사후 버스승차 - 해남군 화산면 관동리 945-11 이동 * 오후 1시 : 관동리 출발 * 오후 6시 30분 : 해남군 황산면 외입리 908-1 첫날마침 *버스승차 : 숙식지로 이동 * 첫날저녁 : 둥지 전남 해남군 문내면 명량로 196 (지번) 문내면 동외리 529-1 061-533-5595 * 숙박 : 아름다운호텔 전남 해남군 ..

2018-10-06~07[1박2일도보여행]목포역에서 고성 통일전망대⑮(인제군 기린면 진동리~양양군 강현면 강산리)

1일차 : 22㎞ 2018-10-06.gpx 2일차 : 19㎞ 2018-10-07.gpx 하루 전날이지만 태풍 콩레이 소식으로 빗방울이 떨어지고 있다. 혹시 도보가 취소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드는데 아직은 취소되었다는 소식은 들리지 않는다. 심야 버스를 타러 터미널에 도착하였을 때도 빗방울은 간간이 떨어지고 있다. 자정이 다된 시간에 버스를 타고 서울로 향했다. 새벽 4시경 강남 터미널에 도착했다. 7시반출발 시간까지는 너무 많은 시간이 남아 있다. 아침이라도 때우려고 하지만 터미널 안 식당들은 열리지 않는다. ▲ 사진은 걷기 출발지점인 강원도 인제군 진동리다. 사진에는 보이지 않지만 굵은 빗방울이 떨어진다. ▲ 설피마을은 강원도 인제군 진동2리는 기린면의 동쪽 끝에 위치하며 백두대간을 기준으로 양양군..

2020-01-18~19[1박2일 도보여행]서해안 따라서②(해남 화산면 관동리~해남군 문내면 예락리 약 41.7㎞)

▲ 오늘의 도보 출발지인 관두산 임도 입구입니다. ▲ 관두산 임도에 있는 이정표입니다. 100m마다 세워져 있습니다. 총길이 3.17㎞의 임도입니다. ▲ 관두산 임도길의 풍경입니다. ▲ 임도 아래로 바라 보이는 바닷가가 시원하게 보입니다. ▲ 임도 끝부분입니다. ▲ 멀리 고천암 방조제가 보입니다. ▲ 고천암 방조제 길이는 2㎞가 조금 못됩니다. ▲ 시간은 6:40분경인데, 1월 중순이라서 해가 짧아서 캄캄한 밤이되었습니다. ▲ 해남군 문내면에 위치한 아름다운 모텔에서 고단한 몸을 쉬어갑니다. ▲ 전날 도보 끝지점에서 다시 시작합니다. ▲ 진도대교 ▲ 여기서 점심을. ▲ 충무공 이순신 추모하는 충무사 지금은 폐쇄 되었습니다. ▲ 해남 우수영항 ▲ 법정스님 생가터입니다. ▲ 이번 도보의 종착지인 문내면 예락..

2014-08-30~31[도보여행]1박2일 서해안 따라서13(평택항~궁평항~대부도 약 62㎞)

▲ 평택항 마린센터입니다. ▲ 평택항은 1986년에 국제무역항으로 지정되었습니다. ▲ 포승국가공단을 통과합니다. ▲ 남양호 방조제를 지납니다. 남양호 방조제는 발안천(發安川)하구 분양만을 막아 1973년에 조성된 담수호입니다▲ 기아차 화성공장입니다. 바닷가에 접근해서 걷고 싶었지만 어쩔 수 없이 우회합니다. ▲ 매향리는 미 공군의 폭격 연습장인 쿠니 사격장(koon-ni range)이 있던 곳으로, 지역주민과 사회단체의 노력으로 2005년부터 폭격이 중단되고 평화를 되찾은 마을입니다. ▲ 미군은 1951년 한국 전쟁 때부터 매향리 공군 사격장과 농섬 일대에서 연중 250일 정도 사격 및 포격훈련을 진행했다. 그동안 인근 주민들은 극심한 소음 고통에 시달렸으며, 마을로 날아드는 포탄과 파편에 생명을 잃거나..

2014-06-21~22[도보여행]서해안 따라서 11구간 (서산구도항~용무치 해안 약68km)

이틀간 걸었던 지도 입니다. 구도항은 서산 팔봉산 입구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하며, 서산에서 가장 가까운 항구로 이 지역 사람들이 즐겨 찾는 곳이다. 특히 가로림만에서 잡히는 낙지가 유명해 박속낙지탕 요리로 명성이 있다. 작은 항구에서 여유로움을 만끽할 수 있는 곳으로 구도항에서 바라보는 가로림만의 저녁노을이일품이다. 옻샘은 서산 아라메길 호리구간 중간지점인 가로림만 해안가 “고부레”라는 해변에 예부터 백사장 모래밭에서 맑은 물이 사시사철 뽀글거리며 솟아나고 있다. 바다중간에 샘솟는 물이 짜지도 않고, 여름에는 차갑고 겨울에는 따뜻한 물이 항상 쫄쫄 바다로 흐르고 있다. 주변 사람들이 여름에는 찾아와서 목욕하며 더위를 시키는데 좋은곳이 되었다. 특히 여름철에 모기등 벌레에 물려 가려운곳, 땀띠, 습진,..

2014-04-05~06[도보여행]서해안 따라서 06구간(가력도~군산터미널 54㎞)

▲ 5,6일 이틀간 걸었던 지도입니다.▲ 가력도에서 새만금 방조제에서 유일하게 있는 수퍼입니다. 가력도(可力島)는 전라북도 군산시 옥도면 비안도리에 속하는 2개의 옛 섬이었는데. 비안도리 495번지는 북가력도, 비안도리 496번지는 남가력도였는데, 북가력도는 가력배수갑문이 설치되어 수면 아래 잠기고 남가력도만 육지로 남아 있다.▲ 가력도를 지나면 가력대교, 그리고 갑문이 나온다.▲ 새만금 방조제는 전라북도 군산, 김제, 부안 앞바다를 연결하는 방조제 33.9km를 세우고, 그 안에 땅 28,300 ha, 호수 11,800 ha를 만드는 계획이다▲ 새만금 간척지 면적은 여의도의 140배에 달하며 부안과 군산을 있는 방조제 안쪽에는 김제가 있습니다.▲ 새만금 방조제의 이름은 김제평야와 만경평야의 첫 글자를 ..

2014-04-19~20[도보여행]서해안 따라서 07구간(군산터미널~충남 서천군 서면 55㎞)

▲ 군산 시외터미널에서 만나서 걷기를 시작합니다..▲ 군산 화력발전소입니다.▲ 금강변의 풍경입니다.▲ 금강 하구댐입니다.▲ 금강하구 공원입니다.▲ 금강하구댐을 건너면서 본 풍경들입니다.▲ 장안쪽으로 발걸음을 돌립니다.▲ 김인전 공원은 경재 김인전(1876년10월7일~1923년 5월12일) 충남 서천출생이다. 1906년 자산을 정리하여 한영학교를 설립했으며 1914년 독립운동 비밀결사회인 송죽회를 조직하는등, 조국의 광복을 위해 헌신하다, 1923년 과로로 순직 하셨답니다.▲ 쌍연마을 입구를 지납니다.▲ 음식문화의 거리, 음식점이 즐비하게 있었습니다.▲ 장항항을 지나고▲ 장암지하차도▲ 이곳에서 하룻밤을 보냅니다.▲ 아침 일찍 일어나서 이곳에서 아침을 해결하고▲ 아름다운 송석마을 해변길을 걷습니다. 바닷가가..

2014-03-01[도보여행]서해안따라4구간(전북 동호항-봉암초교 약25㎞)

▲ 고창 터미널에서 아침 8시경 만났습니다.▲ 동호리 염전길에 있는 정자입니다.▲ 바닷가에 풍차도 있습니다. 여기도 동호리입니다.▲ 또 다른 풍차입니다. 공원처럼 꾸며놓았습니다.▲ 바람공원이군요▲ 고창에 있는 갯벌 방문자 센터입니다. 문은 잠겨있고 아무도 없더군요▲ 고창 질마재길을 소개하는 간판이며, 좌치나루터는 심원, 해리,상하등 등 고창 서부지역과 영광 법성포 사람들이 내륙으로 이동하던 교통의 요충지였으나, 22번 국도가 확, 포장되면서 이용률이 줄었으며 1995년 용선다리가 건설되면서 나루터 기능을 완전히 상실 하였답니다. 80년대 말까지 주막이 있었다고 하네요▲ 좌치나루터의 기능을 완전히 상실하게 만든 용선교라는 다리입니다.▲ 오늘의 도보 목적지인 봉암초교입니다. 3월 2일도 걷는 날이었지만 저는..